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국민내일배움카드 지원 확대

    •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 확대: 국민내일배움카드의 지원이 확대되며, 이는 취약계층을 위한 훈련 기회를 증가시키기 위한 조치이다.
    • 시행일: 2025년 1월 1일부터 새로운 운영규정이 시행될 예정이다.
    • 대상: 기간제·일용근로자, 가정 밖 청소년 등 다양한 취약계층이 포함된다.
    • 목적: 훈련 기회를 제공하여 취약계층의 고용 안정성을 높이고, 노동시장 진입을 지원하는 것이 목표이다.

     

    👆 고용24시 신청하기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. 

     

    국민 내일배움카드 온라인 신청경로는 다음과 같습니다.
    -고용24 홈페이지(www.work24.go.kr)→ 회원가입 → 공동인증서 등 로그인→ 직업 능력 개발 → 국민내일배움카드 → 발급 신청

     

    지원 대상및 내용

    • 고용노동부의 발표: 고용노동부 장관 김문수가 이번 개정의 내용을 발표하였다.
    • 훈련 기회 제공: 취약계층에게 더 많은 훈련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운영규정이 개정되었다.
    • 정책의 필요성: 고용상태가 불안정한 계층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이 강조되었다.
    • 정책의 효과: 이러한 지원을 통해 취약계층의 직업훈련 참여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.

    계좌 한도 및 훈련비 지원

    • 계좌 한도 확대: 기존의 계좌 한도 300만원에서 200만원이 추가 지원되어 총 500만원으로 상향 조정된다.
    • 지원 대상: 고용상태가 불안정한 기간제, 단시간, 파견, 일용근로자 등이 포함된다.
    • 훈련 기회 보장: 추가 지원을 통해 보다 많은 훈련 기회가 보장될 것이다.
    • 정책의 변화: 이러한 변화는 취약계층의 직업훈련 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것이다.

    가정 밖 청소년 지원

    • 가정 밖 청소년 정의: 가정 내 갈등, 학대, 폭력, 방임 등의 이유로 보호자로부터 이탈된 청소년을 의미한다.
    • 훈련비 지원 우대: 가정 밖 청소년은 훈련비 자부담률이 1555%에서 020%로 낮아진다.
    • 추가 지원: 계좌 한도 300만원 소진 시 200만원을 추가 지원받을 수 있다.
    • 목적: 이러한 지원은 가정 밖 청소년의 자립을 돕기 위한 것이다.

    구직자 훈련 기회 확대

    • 훈련 과정의 변화: 구직자가 수강 가능한 원격훈련 과정이 ‘실업자 원격훈련’으로 한정되어 있었으나, 이번 개정으로 일부 ‘재직자 원격훈련’ 과정도 수강 가능해진다.
    • 훈련 기관 및 과정 수: 22개 훈련기관에서 597개 과정이 추가될 예정이다.
    • 정책의 목표: 구직자에게 더 많은 훈련 기회를 제공하여 취업 가능성을 높이는 것이 목표이다.
    • 변동 가능성: 추가되는 과정은 ‘25.1.1. 기준’으로, 추후 변동이 있을 수 있다.

    직업능력정책국장 발언

    • 직무대리 발언: 금정수 직업능력정책국장 직무대리는 이번 개정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.
    • 직업훈련 기회 확대: 취약계층에 대한 직업훈련 기회를 확대하고 성공적인 노동시장 진입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.
    • 훈련 선택권 확대: 훈련생에게 다양한 훈련을 제공하여 선택권을 확대할 것이라고 언급하였다.
    • 정책의 방향성: 이러한 발언은 정책의 방향성과 목표를 명확히 하는 데 기여한다.

    주요 개정안 내용

    • 개정안 주요 내용: 국민내일배움카드 운영규정의 개정안 주요 내용이 소개된다.
    • 계좌 지원 한도 상향: 취약계층의 계좌 추가 지원 한도가 100만원에서 200만원으로 상향 조정된다.
    • 가정 밖 청소년 지원: 가정 밖 청소년의 직업훈련 참여를 적극 지원하기 위한 조치가 포함된다.
    • 중복 수강 제한: 동일과정 개념 신설로 훈련생의 책임성을 강화할 예정이다.

    계좌 지원 한도 상향

    • 계좌 한도 조정: 고용상태가 불안정한 취약계층의 직업 훈련 참여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계좌 추가 지원 한도가 100만원에서 200만원으로 상향 조정된다.
    • 총 지원 한도: 총 지원 한도는 400만원에서 500만원으로 증가한다.
    • 정책의 필요성: 이러한 조치는 취약계층의 직업훈련 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것이다.
    • 기대 효과: 지원 한도 증가로 인해 더 많은 취약계층이 훈련에 참여할 것으로 기대된다.

    가정 밖 청소년 우대

    • 훈련비 우대 지원: 복지의 사각지대에 놓인 가정 밖 청소년의 직업훈련 참여를 적극 지원하기 위한 조치가 포함된다.
    • 계좌 한도 추가 지원: 가정 밖 청소년의 계좌 한도가 300만원에서 500만원으로 증가한다.
    • 훈련비 자부담 완화: 자부담률이 1555%에서 020%로 완화된다.
    • 정책의 목표: 이러한 조치는 가정 밖 청소년의 자립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.

    중복 수강 제한 신설

    • 동일과정 개념 신설: 훈련기관, 훈련직종, 훈련내용 등을 기준으로 동일과정 여부를 명확히 하여 훈련생의 책임성을 강화한다.
    • 정책의 필요성: 중복 수강 제한은 훈련의 질을 높이고, 훈련생의 책임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이다.
    • 기대 효과: 이러한 조치를 통해 훈련생의 훈련 참여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.
    • 정책의 방향성: 훈련생의 책임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정책이 진행된다.

    훈련생 선택권 확대

    • 훈련 과정 선택권 확대: 현재 구직자들이 수강 가능한 인터넷 원격훈련은 ‘실업자 원격훈련’으로 한정되어 있었으나, 일부 훈련과정에 대해 제한 규정을 완화한다.
    • 훈련직종 및 기관 고려: 훈련직종, 훈련기관 역량, 콘텐츠 등급 등을 고려하여 수강 가능 과정을 확대한다.
    • 정책의 목표: 훈련생의 선택권을 확대하여 다양한 훈련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이다.
    • 기대 효과: 훈련생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는 방향으로 정책이 진행된다.

    기타 조문 정비

    • 외국인 지원 기준 정비: 외국인은 전부 지원 제외하되 일부를 허용하는 구조로 개정하여 지원 여부를 명확히 한다.
    • 어려운 용어 정비: 법제처의 행정규칙 속 어려운 용어를 정비하여 이해를 돕는다.
    • 사업 폐지에 따른 규정 정비: 중장년 경력설계 카운슬링, 플랫폼 종사자 특화훈련 폐지에 따라 관련 조문이 삭제된다.
    • 이의신청 기한 명시: 훈련생 제적 시 이의신청 기한을 명시하여 권리구제 절차를 명확히 안내한다.